본문 바로가기

ISSUE

대학가에 번지는 '성 중립 화장실' 설치...서울대, 카이스트도

반응형

주요 대학들이 모두의 화장실(성중립 화장실)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21일 헤럴드경제 취재 결과, 카이스트는 작년 12월 전산학부 건물에 모두의 화장실을 마련했으며, 서울대는 리모델링을 앞두고 있는 문화관 설계도에 모두의 화장실을 반영했다. 모두의 화장실이란, 성별, 연령, 장애 여부, 성 정체성과 관계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을 말한다. 이러한 성중립 화장실은 트랜스젠더 등 성소수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중립 화장실로도 불린다. 일부 시민단체에서 마련했으며, 대학 중에서는 성공회대가 작년 3월에 처음 설치하였다.

SNS


카이스트는 작년 12월, 전산학부 건물 내 남성용 장애인화장실 일부를 모두의 화장실로 교체하였다. 2024년 준공 예정인 전산학부 증축 건물에도 모두의 화장실을 포함할 예정이다. 이를 주도한 류석영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는 "모두의 화장실을 마련해 달라는 학생들의 요구가 꾸준히 들어와 논의를 했지만 진전이 잘 되지 않았다"며 "전산학부 건물 내 남성용 장애인화장실이 당초 설계했던 계획보다 많이 만들어진 것을 발견하고 추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서울대는 또한 2026년 준공 목표인 문화관 증축 및 리모델링 설계도에 모두의 화장실을 반영했다. 이중원 서울대 문화예술원장은 "해외 사례를 보면 문화시설이 제일 먼저 모두의 화장실을 마련한다"며 "서울대 역시 대학이자 문화시설이므로 마련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대에선 이번 리모델링에서 ‘모두의 화장실’ 설치 외에도 장애인용 화장실, 청각장애인용 경보등 설치, 유아 동반자용 화장실 등 고령화와 다양성을 고려한 시설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대학 측은 “성별, 연령, 성 정체성, 장애 등 모든 이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대학의 역할이다”며 “모두의 화장실을 통해 대학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학생들이 다양한 인종과 문화, 배경 등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며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성별 분리화장실을 사용했던 일부 이용자들은 모두의 화장실을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들은 “남녀 성별 분리화장실은 안전성이 높고 익숙한 시설이었다”며 “한 화장실에서 모두 함께 사용하면 불편하고 위생적으로도 불안하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대학 측은 “성별 분리화장실과 모두의 화장실을 공존시키면서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지를 마련하려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내 대학 중 ‘모두의 화장실’을 설치한 곳은 성공회대, 서울여대, 서울대, 카이스트 등이다. 미국 대학들은 이미 2010년대부터 ‘모두의 화장실’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현재 뉴욕대, 콜럼비아대, 브라운대, 펜실베이니아대 등 미국 주요 대학들은 ‘모두의 화장실’을 운영하고 있다.

반응형